본문 바로가기
본문

과제정보

과제명, 기관명, 담당부서, 전화번호, 연구기간, 연구분야, 과제개요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과제명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허브 재원마련을 위한 글로벌 협력구조 연구
기관명 보건복지부 담당부서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 글로벌백신협력팀
전화번호 044-202-1673 연구기간 2022-11-22 ~ 2023-10-02
연구분야 보건산업육성
과제개요    - 글로벌 바이오 인력인력양성 허브 재원 협력 모델 개발 필요성 검토 
   - 국제 개발협력 재원 조달, 사례 분석
   - 인력양성 허브 운영을 위한 다양한 재원 조달 방안 검토
   - 통합적 재정 운영모델(가칭 ‘WHO 인력양성 허브 스콜라십 펀드’) 설계
   - 인력양성 허브 안정적 운영 및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필요 재원 추계

계약정보

수행기관, 수행연구원, 계약일자, 계약방식, 계약금액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수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수행연구원 백주하 계약일자  
계약방식 경쟁 입찰 후 수의계약 계약금액 90500000원

연구결과정보

제목, 연구보고서, 공개제한근거, 비공개사유, 연구보고서, 목차, 주제어, 공헌자, 제작일, 발행년도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허브 재원 마련을 위한 글로벌 협력구조 연구
연구보고서 용역 2023-31_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허브_최종수정_1023.pdf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국제개발협력 재원 관련 동향 및 개념
      제1절 국제 개발협력 재원 관련 최근 논의 동향
      제2절 국제 개발협력 재원 관련 주요 개념과 유형
    제3장 영역별 국제개발협력 사례의 재원 마련 구조
      제1절 보건 분야(I): 감염병 대응
      제2절 보건 분야(II): 교육 및 기금
      제3절 기후변화 및 에너지·환경 분야
      제4절 과학기술혁신 분야
    제4장 바이오 기업 대상 재원 마련 협력 의향 설문조사
      제1절 설문조사 개요
      제2절 설문조사 주요 결과
      제3절 설문조사 결과의 시사점
    제5장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허브의 안정적 운영 위한 필요 재정 추계
      제1절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허브의 교육사업 지출 현황
      제2절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허브의 교육사업 운영비용 추계
    제6장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허브의 재원 마련 전략 및 글로벌 협력구조
      제1절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허브 장학기금의 재원 마련 전략 구상
      제2절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허브 장학기금의 재원 마련 위한 글로벌 협력구조 설계
    제7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주요 결과 요약
      제2절 제언
    참고문헌
    부록
초록
    세계보건기구(WHO)는 2022년 2월 전세계 백신 불평등 해소 및 미래 팬데믹 대비를 위해 대한민국을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Global Training Hub for Bio-manufacturing, 이하 GTH-B)로 지정하였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2022년부터 중·저소득국가의 바이오·백신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매년 2천여명 수준의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GTH-B에서 지속적으로 교육·훈련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재원마련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정부, 국제기구, 글로벌헬스이니셔티브, 글로벌 비영리기구(NGO), 국내외 기업 및 재단, 지역개발은행 등 국제사회의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재원 협력구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재원 마련을 위한 기존의 국제협력 사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바탕으로 GTH-B 운영을 위한 장학기금의 재원마련을 위한 전략과 글로벌 협력구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주제어 글로벌바이오인력양성허브
발행년도 2023

연구결과 평가 및 활용보고서

평가결과서, 활용결과보고서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평가결과서 정책연구평가결과서.pdf
활용결과 보고서 정책연구_활용결과_보고서(수정).hwp
정책연구_활용결과_보고서(수정).pdf

공공누리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