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 국내외 카탈로그 계약방식(또는 유사제도) 현황과 성과분석
○ (국내) 물품, 용역 등에서 카탈로그 방식 운영현황 및 성과분석
○ (미국) 시설과 물품, 용역 등에서 카탈로그 방식 운영절차 등 현황
□ 국내 시설공사에서 카탈로그 계약방식 도입여건과 타당성 분석
○ 국내 시설공사 계약체계에서 도입 여건과 타당성, 가능성 분석
- 건설업계, 발주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의견수렴(공청회 등)
○ 카탈로그 방식이 곤란한 경우, 대안으로 새로운 계약방식 제안
□ 국내 여건 등을 고려한 적정 도입 및 시행방안 제시
○ 우선, 시범사업 시행방안(대상공사, 낙찰자선정절차 등)을 마련
○ 최종적으로 대상공사 선정, 낙찰자 선정절차, 법령정비 방안 등 제도 도입에 필요한 절차와 기준 제시
- 낙찰자 선정은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 제안
□ 단계적 확대 방안과 중장기 발전을 위한 정책제언
○ 시기별(단기, 중·장기로 구분) 대상공사 확대 등 제도 확대방안
○ 제도 도입이후 중장기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제언 등
□ 우리 청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프로그램의 지자체 합동평가 및 공공기관 경영평가 등에 반영하기 위한 평가방법 및 지표 개발
□ 국내외 카탈로그 계약방식(또는 유사제도) 현황과 성과분석
○ (국내) 물품, 용역 등에서 카탈로그 방식 운영현황 및 성과분석
○ (미국) 시설과 물품, 용역 등에서 카탈로그 방식 운영절차 등 현황
□ 국내 시설공사에서 카탈로그 계약방식 도입여건과 타당성 분석
○ 국내 시설공사 계약체계에서 도입 여건과 타당성, 가능성 분석 - 건설업계, 발주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의견수렴(공청회 등)
○ 카탈로그 방식이 곤란한 경우, 대안으로 새로운 계약방식 제안
□ 국내 여건 등을 고려한 적정 도입 및 시행방안 제시
○ 우선, 시범사업 시행방안(대상공사, 낙찰자선정절차 등)을 마련
○ 최종적으로 대상공사 선정, 낙찰자 선정절차, 법령정비 방안 등 제도 도입에 필요한 절차와 기준 제시 - 낙찰자 선정은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 제안
□ 단계적 확대 방안과 중장기 발전을 위한 정책제언
○ 시기별(단기, 중·장기로 구분) 대상공사 확대 등 제도 확대방안
○ 제도 도입이후 중장기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제언 등
□ 우리 청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프로그램의 지자체 합동평가 및 공공기관 경영평가 등에 반영하기 위한 평가방법 및 지표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