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과제정보
과제명 |
서울시민 복지기준선 설정 연구 용역 |
기관명 |
서울특별시 |
담당부서 |
복지건강실 복지정책관 복지정책과 |
전화번호 |
02-2133-7327 |
연구기간 |
2012-02-01 ~
2012-09-30
|
연구분야 |
사회복지기반조성 |
개요 |
가. 서울시민 복지기준선 기본방향 설정 ? 복지기준선의 개념과 범위 설정 - 내셔널 미니멈(National Minimum)과 시빌 미니멈(Civil Minimum) - 최저선과 적정선의 개념 - 서울시민 복지기준선의 범위 ? 대상영역 및 대상집단 설정 - 생활영역 : 소득, 주거, 교육, 돌봄, 의료 - 정책대상 : 서울시민(저소득층, 노인, 장애인, 아동 등 주요 정책대상) ? 서울시 복지기준 설정 기본원칙 ? 복지기준 설정 방법 및 과정
나. 서울시 복지실태 ? 서울시 복지대상자 현황 ? 복지사업 현황 : 중앙정부 및 서울시 사업 ? 자치구별 현황 - 구별 복지수요, 복지사업 편차, 자원현황 등 다. 서울시 최저생계비 설정 ? 현황과 문제점 ? 최저생계비 설정방식 및 데이터 검토 ? 서울시 최저생계비 산출
라. 5대 영역별 서울시민 복지기준선 설정 ? 영역별 내용구성 - 각 영역별로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되, 영역별 특성에 따라 조정함, ? 복지사업 현황과 한계 - 중앙정부사업, 서울시사업 - 자치구별 복지사업 및 수준 비교 분석 ? 복지대상자 현황 - 수혜실적과 수준 - 복지사각지대 현황 - 주요 정책대상 집단의 확인 ? 복지기준선 설정 - 최저기준과 적정기준 - 서울시민 일반기준 - 주요 정책대상 집단별 복지기준 ? 정책과제 - 복지기준선 충족을 위한 서울시 정책, 과제, 사업 도출 - 정책, 과제, 사업 수행방안 및 목표설정 - 자치구 격차 해소방안 - 중앙정부 건의사항 등
마. 자치구 복지재정 격차 해소방안 ? 자치구별 복지재정 현황과 문제점 ? 자치구별 복지재정 격차의 원인분석 ? 자치구별 복지재정 격차 완화방안 - 서울시의 역할 - 중앙정부 건의사항
바. 시민 및 전문가 의견조사 ? 주요 사각지대의 현황 조사 ? 복지기준선 설정과정에서의 시민, 전문가 의견조사 ? 전문가 간담회, 토론회 등 의견수렴 과정 수행
|
계약정보
과제정보
수행기관 |
서울연구원 [기타]
|
수행연구원 |
김경혜 |
계약일자 |
2012-02-01 |
계약방식 |
수의 계약 |
계약금액 |
328,969,000원 |
연구결과 정보
과제정보
제목 |
서울시민 복지기준 설정 연구 |
연구보고서 |
|
주제어 |
서울시민복지기준, civil minimum, 서울형 복지, 보편적 복지 |
발행년도 |
2012년 |
연구결과 평가 및 활용보고서
과제정보
평가결과서 |
미등록
|
활용결과 보고서 |
※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영 제52조에 따라 연구 종료 후 6개월 이내 등록)
|
연구결과 만족도
연구결과 만족도 평가정보
no data fou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