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과제정보
과제명 |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서비스일자리 정책분석과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
기관명 |
보건복지부 |
담당부서 |
사회복지정책실 사회서비스정책관 사회서비스일자리과 |
전화번호 |
044-202-3275 |
연구기간 |
2020-09-09 ~
2020-12-10
|
연구분야 |
사회복지기반조성 |
개요 |
○ 기존 사회서비스일자리 정책에 대한 분석 및 평가
- 사회서비스 공급 확대, 바우처 방식 도입,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시행 등 주요 사회서비스 일자리 정책 분석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2017)」의 사회서비스일자리 정책 분석 및 성과 평가
- 전체 사회서비스일자리와 정부지원 사회서비스일자리의 관계분석 등을 통한 보완점 도출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서비스일자리 변화 분석 및 대응방안 제언
- 코로나19가 사회서비스 분야 산업분류별, 직종별 고용량과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포스트코로나 대비 사회서비스 인력수급방안, 종사자 방역·건강 문제 등 대응방안 마련
○ 포스트코로나 시대 사회서비스 일자리 정책과제 제언
- 국내외 논의 동향과 시사점 도출을 통해 미래투자가 필요한 사회서비스 일자리 모델 제안
- 포스트코로나 시대 새로운 사회서비스 일자리 발굴 및 정책제언
|
계약정보
과제정보
수행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부출연기관]
|
수행연구원 |
김현경 |
계약일자 |
2020-09-09 |
계약방식 |
수의 계약 |
계약금액 |
34,200,000원 |
연구결과 정보
과제정보
제목 |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서비스일자리 정책분석과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
연구보고서 |
|
목차 |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제3절 연구 방법 제2장 사회서비스 일자리정책 및 일자리 현황 분석 제1절 사회서비스 일자리정책 제2절 사회서비스 일자리사업 및 일자리 현황 제3절 사회서비스 일자리사업 개선 방안 제3장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서비스 일자리 변화와 대응 방안 제1절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서비스 일자리 변화 제2절 코로나19와 사회서비스 노동 제3절 사회서비스 일자리 질 제고를 위한 방향 제4장 포스트코로나 시대 사회서비스 일자리정책의 과제 제1절 기술혁신과 미래 사회서비스 일자리 제2절 감염병과 미래 사회서비스 일자리 제3절 포스트코로나 시대 사회서비스 일자리와 정책적 과제 참고문헌 부록
|
주제어 |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서비스일자리 정책분석과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
발행년도 |
2020년 |
연구결과 평가 및 활용보고서
과제정보
평가결과서 |
|
활용결과 보고서 |
※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영 제52조에 따라 연구 종료 후 6개월 이내 등록)
|
공공누리 정보
공공누리
보건복지부의 창작 저작물인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서비스일자리 정책분석과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의 경우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결과 만족도
연구결과 만족도 평가정보
no data fou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