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는 2006년 7월부터 전국병원감염감시체계(KONIS, Korean
Nation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를 구축하여 질병관리
본부의 지원을 받아 감염감시를 시행해 왔다. 2006년 중환자실 감염감시, 2007년 수
술부위감염감시가 시작되었으며 2014년 KONIS 보완연구-소아청소년 모듈개발 시범
연구 2015년 KONIS-소아청소년 모듈 구축과제 후 2018년에는 전국 신생아중환자실
의료관련감염 감시체계 운영 과제로 전국 20개 의료기관 신생아 중환자실을 대상으
로 감시체계가 시작되었다. 손위생 수행과 관련하여 2015년 웹과 모바일 앱을 기반
으로 손위생 감시 체계가 개발되고 2017년에는 웹 기반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 감시체계를 개발되었다. 2019년 처음으로 네 개의 과제가 전국의료관련감염감
시체계 운영이라는 과제로 통합되어 발주되었고 이것은 그 첫 번째 결과보고이다.
중환자실 의료관렴감염감시는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의 감시 결과를 정리하
였다. 대상 기관 308개 중 227개 기관(73.7%)이 신청하였고 중환자실은 316개이다.
감염의 종류별로는 요로감염이 1,682건(34.5%), 혈류감염이 2,110건(43.3%), 폐렴이 1,
082건(22.2%)로 혈류감염이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요로감염은 1,000재원일
당 1.13건(95% CI 1.08-1.18), 혈류감염은 1.42건(95% CI 1.36-1.48), 폐렴은 0.73건(95%
CI 0.68-0.77)로 전년도 요로감염 1.03건(95% CI, 0.98-1.08), 혈류감염은 1.35건(95% C
I, 1.29-1.41), 폐렴은 0.69건(95% CI, 0.65-0.74)으로 혈류감염, 폐렴은 전년도와 차이
가 없었으나 요로감염은 증가하였다. 2019년 수술부위감염감시는 20개의 수술에 대
하여 종합병원 및 150병상 이상 병원으로서 감염관리실을 운영하는 279개 의료기관
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수술 후 30일 감시 대상인 12개 수술에 대하여 2019년 4
월부터 9월까지 감염률이 보고되었다. 수술 후 90일 감시 대상인 8개 수술에 대하여
2019년 4월부터 6월까지 감염률은 슬관절치환술 0.23%, 고관절치환술 0.93%, 척추고
정술 1.40%, 개두술 1.45%, 뇌실단락술 1.64%, 심장수술 1.16%, 심장동맥우회술(CBG
B) 2.56%, 심장동맥우회술(CBGC) 0.0%였다. 신생아중환자실 감염감시는 전국 75개
기관이 참여하였다. 2019년 7월부터 12월까지의 전국 NICU의 혈류감염률은 1,000 pa
tient-days 당 0.54(pooled mean blood stream infection rate [BSI] rate), 중심도관관련
혈류감염 발생률은 1,000도관일 당 1.73 (pooled mean central line-associated BSI rat
e), 중심도관 사용비는 0.28 (pooled mean central line utilization rate) 이었다. 손위
생 감시체계에는 219개 기관이 참여하였고, 2017년 62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것에 비
하여 157개 기관이 증가한 것이다.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예방 감시체계에는 82
개 기관이 참여하였다.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는 2006년 7월부터 전국병원감염감시체계(KONIS, Korean Nation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를 구축하여 질병관리 본부의 지원을 받아 감염감시를 시행해 왔다. 2006년 중환자실 감염감시, 2007년 수 술부위감염감시가 시작되었으며 2014년 KONIS 보완연구-소아청소년 모듈개발 시범 연구 2015년 KONIS-소아청소년 모듈 구축과제 후 2018년에는 전국 신생아중환자실 의료관련감염 감시체계 운영 과제로 전국 20개 의료기관 신생아 중환자실을 대상으 로 감시체계가 시작되었다. 손위생 수행과 관련하여 2015년 웹과 모바일 앱을 기반 으로 손위생 감시 체계가 개발되고 2017년에는 웹 기반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 감시체계를 개발되었다. 2019년 처음으로 네 개의 과제가 전국의료관련감염감 시체계 운영이라는 과제로 통합되어 발주되었고 이것은 그 첫 번째 결과보고이다. 중환자실 의료관렴감염감시는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의 감시 결과를 정리하 였다. 대상 기관 308개 중 227개 기관(73.7%)이 신청하였고 중환자실은 316개이다. 감염의 종류별로는 요로감염이 1,682건(34.5%), 혈류감염이 2,110건(43.3%), 폐렴이 1, 082건(22.2%)로 혈류감염이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요로감염은 1,000재원일 당 1.13건(95% CI 1.08-1.18), 혈류감염은 1.42건(95% CI 1.36-1.48), 폐렴은 0.73건(95% CI 0.68-0.77)로 전년도 요로감염 1.03건(95% CI, 0.98-1.08), 혈류감염은 1.35건(95% C I, 1.29-1.41), 폐렴은 0.69건(95% CI, 0.65-0.74)으로 혈류감염, 폐렴은 전년도와 차이 가 없었으나 요로감염은 증가하였다. 2019년 수술부위감염감시는 20개의 수술에 대 하여 종합병원 및 150병상 이상 병원으로서 감염관리실을 운영하는 279개 의료기관 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수술 후 30일 감시 대상인 12개 수술에 대하여 2019년 4 월부터 9월까지 감염률이 보고되었다. 수술 후 90일 감시 대상인 8개 수술에 대하여 2019년 4월부터 6월까지 감염률은 슬관절치환술 0.23%, 고관절치환술 0.93%, 척추고 정술 1.40%, 개두술 1.45%, 뇌실단락술 1.64%, 심장수술 1.16%, 심장동맥우회술(CBG B) 2.56%, 심장동맥우회술(CBGC) 0.0%였다. 신생아중환자실 감염감시는 전국 75개 기관이 참여하였다. 2019년 7월부터 12월까지의 전국 NICU의 혈류감염률은 1,000 pa tient-days 당 0.54(pooled mean blood stream infection rate [BSI] rate), 중심도관관련 혈류감염 발생률은 1,000도관일 당 1.73 (pooled mean central line-associated BSI rat e), 중심도관 사용비는 0.28 (pooled mean central line utilization rate) 이었다. 손위 생 감시체계에는 219개 기관이 참여하였고, 2017년 62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것에 비 하여 157개 기관이 증가한 것이다.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예방 감시체계에는 82 개 기관이 참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