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과제정보
과제명 |
지역사회와 연계 강화를 위한 지역거점대학의 공간 활용방안 연구 |
기관명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
담당부서 |
지역혁신국 교육혁신과 |
전화번호 |
02-2100-1161 |
연구기간 |
2020-07-16 ~
2020-12-15
|
연구분야 |
대학의 특성화·다양화 |
개요 |
1. 연구과제 개요 ○ 과 제 명 : 「지역사회와 연계 강화를 위한 지역거점대학의 공간활용방안 연구」 ○ 연구기간 : 2020. 7. 16. ~ 2020. 12. 15.(5개월) ○ 연구비(부가세 포함) : 금삼천구백만원정(?39,000,000)
2.. 주요 연구내용 ○ 지역대학과 지역사회 간의 협력활동 분석 - 정부재정 지원 사업을 포함한 대학과 지역사회 협력 사례 - 지역 도시재생 사업에 있어서의 지역대학 연계 현황 분석 - 지역거점대학의 지역사회 연계 활용 자원 유형 도출(활용, 전환, 공유, 확대, 강화, 신설 등) ○ 지역거점대학 내 지역연계 수요 공간 현황 분석 - 현재 지역대학 내 공간 활용 관련 정책 및 제도 분석 - 대학 내 자원분석을 통한 지역연계 수요 공간 현황 파악 및 대응 공간 도출 ○ 지역거점대학 물리적 자산 구축 및 활용전략 수립을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협력방안 도출
|
계약정보
과제정보
수행기관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학]
|
수행연구원 |
이상홍 |
계약일자 |
2020-07-16 |
계약방식 |
경쟁 입찰 후 수의계약 |
계약금액 |
39,000,000원 |
연구결과 정보
과제정보
제목 |
지역사회와 연계 강화를 위한 지역거점대학의 공간 활용방안 연구 |
연구보고서 |
|
목차 |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내용 4 3. 연구방법 5 Ⅱ. 선행연구 및 사례 분석 6 1. 선행연구 6 2. 해외 사례 분석 7 3. 국내 사례 분석 25 Ⅲ. 지역거점대학 공간관련 제도 및 공간관리 현황 31 1. 조사대상 지역거점대학 선정 31 2. 국립대학 시설 공간활용 평가 분석 41 3. 종합정리 및 시사점 70 Ⅳ. 지역사회와 연계한 지역거점대학의 공간활용현황 72 Ⅳ-1. 지역사회 연계 관련 사업 및 활동 72 1. 지역사회 연계 관련 중앙부처 재정지원사업 72 2. 대학 연계 지자체 사업 84 3. 대학 공간자원 활용 관련 세부사업 95 4. 거점국립대학 지역사회 연계 활동 117 5. 종합정리 및 시사점 144 Ⅳ-2. 설문을 통한 지자체 실무자의 지역거점대학 활용경험 및 인식조사 153 1. 설문조사 개요 153 2. 설문조사 결과 156 3. 종합정리 및 시사점 163 Ⅳ-3. 지역거점대학 공간활용 현장조사 165 1. 경북대학교 165 2. 부산대학교 167 3. 충남대학교 172 4. 전남대학교 177 5. 강원대학교 179 6. 경상대학교 185 Ⅴ. 지역사회 연계 강화를 위한 지역거점대학의 공간활용방안 191 Ⅴ-1. 지역거점대학의 지역사회 연계 공간자원 유형 도출 191 1. 공간자원 유형 도출 191 2. 대학 공간자원 활용을 통한 지역사회 협력방향 196 Ⅴ-2. 지역사회 연계 공간활용의 효용성 분석 200 1. 거점대학의 효용성 측면 200 1-1. 경제적 효용성 200 1-2. 유휴공간 활용 210 1-3. 학교 홍보 효과 211 2. 연계 지역사회의 효용성 측면 212 Ⅴ-3. 연계 강화 및 공간 활용을 위한 방안 214 1. 국립대학 공간의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법적·제도적 근거 검토 214 2. 연계환경 구축을 위한 준비사항 229 Ⅵ. 결론 및 연구 활용방안 246 1. 결론 246 2. 연구활용방안 250 참고문헌 252 가. 실무진 면담 269
|
주제어 |
지역사회와 연계 강화를 위한 지역거점대학의 공갈 활용방안 연구 |
제작일 |
2020-12-15 |
발행년도 |
2020년 |
공공누리 정보
공공누리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창작 저작물인
지역사회와 연계 강화를 위한 지역거점대학의 공간 활용방안 연구의 경우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결과 만족도
연구결과 만족도 평가정보
no data fou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