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I. 서 론
■ 연구배경
○ 전쟁양상의 변화에 따른 C4ISR 중요성 부각
- 선제성의 ('look first, strike first') 중요성 확대에 따른 C4ISR의 역할 증대
- 전장감시, 정찰, 전파 등 지휘통제능력의 원천으로 C4ISR 중요성 확대
○ C4ISR 체계 효과 및 타당성 검증수단 부족
- C4ISR체계 획득 관련 사업에 대한 타당성 및 경제성 검증 요망
- C4ISR 효과 분석시 소모전 위주 기존 모의분석도구의 적합성 문제 대두
■ 연구개요
○ 연구절차
○ 연구목표: C4ISR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①상황 및 문제점 인식 ②모의대상 정의 및 식별, ③개발 고려사항 및 방향 판단 등을 통하여 C4ISR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확립
○ 가정사항: "C4ISR 시뮬레이션 모형"이란 합동 C4ISR 자산의 능력, 상호운용성, 제한사항 등을 고려, 그 효과를 분석/평가할 수 있는 구성형 시뮬레이션 (constructive simulation) 모형으로 가정
○ 연구범위: 모의대상 식별, 개발 고려사항 및 개발방향 판단 등에 중점
■ 연구내용 및 구성/방법
○ 연구내용
○ 연구구성
- 하향식(Top Down) 구성: 기본개념/이론, 현황을 바탕으로 상세내용 도출
- 연역적(deductive) 전개: 두괄식 문장구초 채택 → 각장의 기본개념 서술
○ 연구방법
- 문헌고찰/비교분석: 관련 보고서/논문 고찰, 기존 시뮬레이션 모형 비교
- 조사/자문/세미나: 실체계 참관, 관련 문헌 세미나, 전문가 자문 청취
II. C4ISR 개념 및 기존 모의실태
1. C4ISR 기본개념
■ C4ISR 정의 및 발전동향
○ 정의: 지휘, 통제, 통신, 컴퓨터, 정보, 감시 및 정찰의 약어, 지휘통제체게 및 정보기능과 관련 모든 체계 및 기능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 용어(미국 비전 2010, 미래 합동작전 개념)
○ 발전동향
- 방식변화: 스토브파이프식→ 식복합체계(New System-of-Systems)
- 통신/컴퓨터/ISR 기술 발전: C2 → C3 → C4I → C4ISR: 영역확대
■ 의의
○ 정보작전 및 정보전 기반: 전장감시, 정보융합, 전장정보분석, 정보전파/공유 등 정확하고 신속한 의사결정 과정상 C4ISR 중요성 증대
○ 전투우위 확보 요체: 선제탐지→선제결심→선제타격→신속우위, "시간적"으로 상대 압도, 전체상황 통제, 빠른 템포로 전장상황 주도권 장악
2. C4ISR 관련 기존 모의실태
■ C4ISR 기존 시뮬레이션
○ JWARS(Joint Warfare System): 지각기반 지휘통제(Perception-based C2)
- 센서: 탐지기(detector), 수집기(collector), 보도기(reporter)로 분류, ISR 센서와 사격통제 센서로 구분
- 통신: 전역에서 통신 효과 모델링에 중점, 상태나 식별에 잠재적 영향을 미치는 메시지들만 구현
○ EADSIM(Extended Air Defense Simulation)
- 메시지별(message-by-message) 기반 C3I와 플랫폼간 통신 모의
- C3I 절차 통해 전투관리(임무판단, 무장할당 등) 및 교전(지대지, 지대공, 공대지, 공대공) 수행
○ 기타 모형
- THUNDER: ISR 모듈로 표적탐지 및 표적획득, 타격대상 결정 지원
- JICM: C2 개별모듈로 모의하지 않고, 매개변수로 취급
- JANUS: 정보수집자산의효과 반영 미흡
- VIC: 군단 C4ISR 위주 모의, 상대적으로 구세대 모의논의 적용
- SEAS: 정보자산 효과 평가, 지상전투 모형(GFC2) 연동운용 필요
- FIT: C4I 효과분석 중점, 전투모형(HORUS)과 연동가능
■ 기존 전구급 모형간 비교
→ 기존 전구급 모형 대부분 소모/기동 위주 전투모의, C4ISR 효과분석 제한, 상대적으로 C4ISR 효과분석 도구 미비
<이하 생략>
I. 서 론
■ 연구배경
○ 전쟁양상의 변화에 따른 C4ISR 중요성 부각
- 선제성의 ('look first, strike first') 중요성 확대에 따른 C4ISR의 역할 증대 - 전장감시, 정찰, 전파 등 지휘통제능력의 원천으로 C4ISR 중요성 확대
○ C4ISR 체계 효과 및 타당성 검증수단 부족
- C4ISR체계 획득 관련 사업에 대한 타당성 및 경제성 검증 요망 - C4ISR 효과 분석시 소모전 위주 기존 모의분석도구의 적합성 문제 대두
■ 연구개요
○ 연구절차
○ 연구목표: C4ISR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①상황 및 문제점 인식 ②모의대상 정의 및 식별, ③개발 고려사항 및 방향 판단 등을 통하여 C4ISR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확립 ○ 가정사항: "C4ISR 시뮬레이션 모형"이란 합동 C4ISR 자산의 능력, 상호운용성, 제한사항 등을 고려, 그 효과를 분석/평가할 수 있는 구성형 시뮬레이션 (constructive simulation) 모형으로 가정 ○ 연구범위: 모의대상 식별, 개발 고려사항 및 개발방향 판단 등에 중점
■ 연구내용 및 구성/방법
○ 연구내용
○ 연구구성 - 하향식(Top Down) 구성: 기본개념/이론, 현황을 바탕으로 상세내용 도출 - 연역적(deductive) 전개: 두괄식 문장구초 채택 → 각장의 기본개념 서술 ○ 연구방법 - 문헌고찰/비교분석: 관련 보고서/논문 고찰, 기존 시뮬레이션 모형 비교 - 조사/자문/세미나: 실체계 참관, 관련 문헌 세미나, 전문가 자문 청취
II. C4ISR 개념 및 기존 모의실태
1. C4ISR 기본개념
■ C4ISR 정의 및 발전동향
○ 정의: 지휘, 통제, 통신, 컴퓨터, 정보, 감시 및 정찰의 약어, 지휘통제체게 및 정보기능과 관련 모든 체계 및 기능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 용어(미국 비전 2010, 미래 합동작전 개념)
○ 발전동향 - 방식변화: 스토브파이프식→ 식복합체계(New System-of-Systems) - 통신/컴퓨터/ISR 기술 발전: C2 → C3 → C4I → C4ISR: 영역확대
■ 의의
○ 정보작전 및 정보전 기반: 전장감시, 정보융합, 전장정보분석, 정보전파/공유 등 정확하고 신속한 의사결정 과정상 C4ISR 중요성 증대 ○ 전투우위 확보 요체: 선제탐지→선제결심→선제타격→신속우위, "시간적"으로 상대 압도, 전체상황 통제, 빠른 템포로 전장상황 주도권 장악
2. C4ISR 관련 기존 모의실태
■ C4ISR 기존 시뮬레이션
○ JWARS(Joint Warfare System): 지각기반 지휘통제(Perception-based C2) - 센서: 탐지기(detector), 수집기(collector), 보도기(reporter)로 분류, ISR 센서와 사격통제 센서로 구분 - 통신: 전역에서 통신 효과 모델링에 중점, 상태나 식별에 잠재적 영향을 미치는 메시지들만 구현 ○ EADSIM(Extended Air Defense Simulation) - 메시지별(message-by-message) 기반 C3I와 플랫폼간 통신 모의 - C3I 절차 통해 전투관리(임무판단, 무장할당 등) 및 교전(지대지, 지대공, 공대지, 공대공) 수행 ○ 기타 모형 - THUNDER: ISR 모듈로 표적탐지 및 표적획득, 타격대상 결정 지원 - JICM: C2 개별모듈로 모의하지 않고, 매개변수로 취급 - JANUS: 정보수집자산의효과 반영 미흡 - VIC: 군단 C4ISR 위주 모의, 상대적으로 구세대 모의논의 적용 - SEAS: 정보자산 효과 평가, 지상전투 모형(GFC2) 연동운용 필요 - FIT: C4I 효과분석 중점, 전투모형(HORUS)과 연동가능
■ 기존 전구급 모형간 비교
→ 기존 전구급 모형 대부분 소모/기동 위주 전투모의, C4ISR 효과분석 제한, 상대적으로 C4ISR 효과분석 도구 미비 <이하 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