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요 약
I.연구개요
가.연구배경/필요성
○국방 C4I체계와의 연계 및 전장관리 수송지원을 위한 국방 수송정보 제공이 시급함.
○국방 통합수송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정부의 수송관련체계와의 상호 협조 지원체계가 필요
○국방군수정보체계 사업에서 수송지원에 대한 상호운용 요구사항이 급증
○기 작성된 수송정보체계 개발방향서는 최신 개발기술과에 비해 낙후되었으므로 신기술을 적용하여 수정 및 보완이 필요
나.추진경과
○국방군수정보체계 개발사업 추진계획 승인(장관):‘95.12.4
○각 기능별/제대별 수송업무분석/기본메뉴 구성도 작성:‘98.1∼3월
○각군 수송정보체계개발방향서/업무분석기술서 책자발간배포:‘99.2월
○수송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선행연구 수행:‘99.1∼12월
○‘02-‘06증기계획/‘02-‘16 획득개발계획서 작성통보:‘00.6월
○국방(육ㆍ해ㆍ공군)수송지원개념 표준화 연구:‘00.7∼12월
○전시 민ㆍ관ㆍ군 통합수송지원체계 연구 추진:‘01.1∼12월
다.연구목적
○기 연구된 각군의 소요제기와 개발방향서 및 업무분석기술서를 근간으로 새로운 소요요구 수송업무 표준화 연구결과 신기술구조를 반영한 체계 정립
○국방수송정보체계 사업 승인을 위한 체계 개발계획서(안)을 제시
라.연구범위
○수송정보화 요구사항 반영 및 사업추진을 위한 체계 개념 작성
-국방획득관리규정(676호)에 의한 운영 개념 정립
마.개발 방향
○각군의 수송업무 특성이 상호 연계되는 국방 수송자원의 통합관리 지원체계를 구축
○타기능과 달리 연합 및 합동작전을 포함한 전.평시 운용할 수 있는 하나의 표준화된 시스템으로 구축
○C4I국방군수정보체계의 타 기능(탄약,보급,장비/정비)체계와 연계된 실시간 수송지원 시스템 구축
바.구축 목표
국방C4I체계 지원 및 군수통합정보체계 구현을 위한 3군 통합 수송자산관리와 작전 임무수행에 필요한 수송정보 제공 체계 구축
○현존「수송 전력」을 신속,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국방 수송자산 및 능력의 가시화
○현행 수송자원의 효율적인 수송계획 및 소요판단이 가능한 시스템
○국방수송자원의 통합관리로 수송수단의 공동활용 및 실시간 처리 시스템
사.연구방법
II.국방수송정보체계 현실 분석 및 개발대상 도출
가.수송 업무 현실태 분석
○수행업무 측면
-각 급제대별 병참선제원집 작성 및 활용으로 변동제원에 대한 형상관리곤란
-종합적이고 자료에 근거한 의사결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수송수단별 지원요소 결정이 염두판단 및 교범에 의존
-수송 자산 집계 및 변동현황을 수작업으로 작성함으로써 자산파악에 과다한 노력이 소요되고 가용능력 판단이 어려움
-한국통신에서 개발한 이동관리 및 부대추적체계의 사용제한으로 적시적인 수송지원 계획 수립 및 운용이 어려움
○수송수단별
-수송수단별 수송자산에 대한 신청양식이 상이하고 전.평시 수송지원 신청절차가 이원화되어 있어 효율적인 수송지원이 어려움
※00년 연구과제시 국방수송지원개념 표준화 방안 제시
-긴급성 및 중요성을 고려한 수송지원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자군 우선지원 원칙의 군별 독자적인 지원체제임
○전산체계면
-전산실 중심의 모둠처리 운영으로 실시간 의사결정에 어려움
-MTS 이동관리,항공수송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 정보체계가 단순업무처리위주로 통합적인 정보관리 및 정보 공유가 곤란
나.수송 관련 타체계
수송과 관련된 정보를 필요로하는 타체계
○지휘소자동화 체계:수송지원 능력 판단 및 수송상황도 관리 등
○지상전술C4I체계:도로능력/보급로 판단,수송능력/지원시기 판단 등
○탄약,물자정보체계:육로,철도수송에 대한 소요제기만 일부 반영
○수송부대:MTS이동관리(국수사)항공수송관리시스템(공군)
다.개발대상
○개요
-수송정보체계의 개발대상을 수송업무 수행을 위한 기능과 실제 사용하는 표준제대 유형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수송수단별,표준제대별,수송기능간 관계를 도식하여 개발대상을 표현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낼수 있다.
○수송기능 분류
각군의 소요제기 및 업무분석기술서를 근간으로 분석
-수송업무의 특성을 고려한 업무영역은 수송자산의 제원관리를 포함하여 수송의 소요기준/판단과 전투근무지원관리
-대상업무를 기준으로 한 수송제원관리로부터 소요관리 및 지휘 평가 기능 등으로 분류
○SYSTEM 기본기능 관계
각 개발 대상기능에 대한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이하 생략)
요 약
I.연구개요
가.연구배경/필요성 ○국방 C4I체계와의 연계 및 전장관리 수송지원을 위한 국방 수송정보 제공이 시급함. ○국방 통합수송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정부의 수송관련체계와의 상호 협조 지원체계가 필요 ○국방군수정보체계 사업에서 수송지원에 대한 상호운용 요구사항이 급증 ○기 작성된 수송정보체계 개발방향서는 최신 개발기술과에 비해 낙후되었으므로 신기술을 적용하여 수정 및 보완이 필요 나.추진경과 ○국방군수정보체계 개발사업 추진계획 승인(장관):‘95.12.4 ○각 기능별/제대별 수송업무분석/기본메뉴 구성도 작성:‘98.1∼3월 ○각군 수송정보체계개발방향서/업무분석기술서 책자발간배포:‘99.2월 ○수송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선행연구 수행:‘99.1∼12월 ○‘02-‘06증기계획/‘02-‘16 획득개발계획서 작성통보:‘00.6월 ○국방(육ㆍ해ㆍ공군)수송지원개념 표준화 연구:‘00.7∼12월 ○전시 민ㆍ관ㆍ군 통합수송지원체계 연구 추진:‘01.1∼12월 다.연구목적 ○기 연구된 각군의 소요제기와 개발방향서 및 업무분석기술서를 근간으로 새로운 소요요구 수송업무 표준화 연구결과 신기술구조를 반영한 체계 정립 ○국방수송정보체계 사업 승인을 위한 체계 개발계획서(안)을 제시 라.연구범위 ○수송정보화 요구사항 반영 및 사업추진을 위한 체계 개념 작성 -국방획득관리규정(676호)에 의한 운영 개념 정립 마.개발 방향 ○각군의 수송업무 특성이 상호 연계되는 국방 수송자원의 통합관리 지원체계를 구축 ○타기능과 달리 연합 및 합동작전을 포함한 전.평시 운용할 수 있는 하나의 표준화된 시스템으로 구축 ○C4I국방군수정보체계의 타 기능(탄약,보급,장비/정비)체계와 연계된 실시간 수송지원 시스템 구축 바.구축 목표 국방C4I체계 지원 및 군수통합정보체계 구현을 위한 3군 통합 수송자산관리와 작전 임무수행에 필요한 수송정보 제공 체계 구축 ○현존「수송 전력」을 신속,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국방 수송자산 및 능력의 가시화 ○현행 수송자원의 효율적인 수송계획 및 소요판단이 가능한 시스템 ○국방수송자원의 통합관리로 수송수단의 공동활용 및 실시간 처리 시스템
사.연구방법
II.국방수송정보체계 현실 분석 및 개발대상 도출
가.수송 업무 현실태 분석 ○수행업무 측면 -각 급제대별 병참선제원집 작성 및 활용으로 변동제원에 대한 형상관리곤란 -종합적이고 자료에 근거한 의사결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수송수단별 지원요소 결정이 염두판단 및 교범에 의존 -수송 자산 집계 및 변동현황을 수작업으로 작성함으로써 자산파악에 과다한 노력이 소요되고 가용능력 판단이 어려움 -한국통신에서 개발한 이동관리 및 부대추적체계의 사용제한으로 적시적인 수송지원 계획 수립 및 운용이 어려움
○수송수단별 -수송수단별 수송자산에 대한 신청양식이 상이하고 전.평시 수송지원 신청절차가 이원화되어 있어 효율적인 수송지원이 어려움 ※00년 연구과제시 국방수송지원개념 표준화 방안 제시 -긴급성 및 중요성을 고려한 수송지원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자군 우선지원 원칙의 군별 독자적인 지원체제임
○전산체계면 -전산실 중심의 모둠처리 운영으로 실시간 의사결정에 어려움 -MTS 이동관리,항공수송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 정보체계가 단순업무처리위주로 통합적인 정보관리 및 정보 공유가 곤란
나.수송 관련 타체계 수송과 관련된 정보를 필요로하는 타체계 ○지휘소자동화 체계:수송지원 능력 판단 및 수송상황도 관리 등 ○지상전술C4I체계:도로능력/보급로 판단,수송능력/지원시기 판단 등 ○탄약,물자정보체계:육로,철도수송에 대한 소요제기만 일부 반영 ○수송부대:MTS이동관리(국수사)항공수송관리시스템(공군)
다.개발대상
○개요 -수송정보체계의 개발대상을 수송업무 수행을 위한 기능과 실제 사용하는 표준제대 유형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수송수단별,표준제대별,수송기능간 관계를 도식하여 개발대상을 표현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낼수 있다. ○수송기능 분류 각군의 소요제기 및 업무분석기술서를 근간으로 분석 -수송업무의 특성을 고려한 업무영역은 수송자산의 제원관리를 포함하여 수송의 소요기준/판단과 전투근무지원관리 -대상업무를 기준으로 한 수송제원관리로부터 소요관리 및 지휘 평가 기능 등으로 분류
○SYSTEM 기본기능 관계 각 개발 대상기능에 대한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이하 생략)
|